지역조직화기능
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문제를 스스로 예방하고 해결하며, 참여로 함께 나누고 실천하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다양한 마을 활동 지원
마을 내 생태ㆍ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실천 주체를 강화하고, 주민 주도 마을환경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생태공동체 기반 형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우리동네 생태마을 실현
지역주민 누구나
구분 | 내용 |
마을 내 생태ㆍ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실천 주체 강화 | - 우리동네 환경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- 생태ㆍ환경 가치 창출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구조 강화 |
주민 주도 마을환경활동을 통한 생태공동체 기반 형성 | - 제10회 오정희망마을생태학교 운영 - 제6회 한여름밤의 별자리 가족캠프 운영 - 이야기가 있는 마을정원 구성(공동텃밭, 옥상정원, 골목정원 등) |
마을환경활동 지속 가능 발전 방향 모색 | - 이야기가 있는 우리동네 환경축제 - 생태환경활동 실천 관련 지역사회 홍보를 통한 생태ㆍ환경적 가치 인식 확산 |
주민 주체의 마을축제를 통해 마을공동체 가치 공유와 지속 가능한 마을 만들기 마을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문화공동체 형성
지역주민 누구나 우리어울림네트워크
구분 | 내용 |
우리어울림네트워크 역량강화를 통한 마을축제의 자립성 강화 | - 지역 내 우리어울림네트워크 참여단체 발굴 - 우리어울림네트워크 역량강화 워크샵 진행 |
지역 내 자원망 확대를 통한 순환적 관계망 확대 | - 지역 내 잠재적 자원 발굴 - 인적ㆍ물적 자원 네트워크화를 통한 관계망 확대 |
주민참여 유도를 통한 소통의 장으로써 마을축제 역할 강화 | - 마을 현안 및 사회적 이슈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 및 소통기회 마련 -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마을축제 홍보 |
지역사회 내 지속적인 마을활동을 통해 이웃 간 소통의 기회를 증진하고 호혜적 마을공동체를 추진하며 나아가 주민주도의 마을기금 마련활동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기반마련
부천시 오정구 원종2동 저소득 홀로거주어르신 및 지역 주민
구분 | 내용 |
우리랑 주체의 지속적인 마을 활동을 통한 골목 내 이웃들의 소통기회 증진 |
-돌봄공동체 우리랑 정기모임 -오정뜰어울림한마당 마을축제참여 -주민공동활동 진행 |
마을 내 어르신들의 평상모임을 통한 호혜적 마을 공동체 추진 |
--평상, 경로당을 활용한 어르신 나눔활동 진행 -시끌벅적 주민송년회 |
지속적인 마을기금 마련 및 역량강화를 통한 마을기업 기반 마련 |
-마을활동 기금마련을 위한 골목포차 -마을기업벤치마킹 -역량강화 교육 진행 |
마을 내 돌봄공동체 ‘우리랑’의 모델링을 통해 발굴된 신규 마을리더를 양성하여 2구역 중심의 주체적인 돌봄 문화를 조성하고 주민-어르신들의 주체적 마을 활동을 통해 지역 내 돌봄 문화를 확산
원종2동 2구역 중심의 관심을 가진 지역주민 10명 및 지역주민
구분 | 내용 |
모락 주체의 정기모임 및 역량강화 활동으로 기존 마을 리더와 지속적인 네트워킹 |
-돌봄공동체 모락 정기회의 -선배마을리더와 공주민동활동 '우리지금만나' -신규 활동 발굴을 위한 '전통카페탐방' |
주민-어르신들의 주체적 마을 활동으로 어르신이 수혜자가 아닌 삶의 지혜를 나눌 수 있는 마을 내 활동 주체자로 자립 |
-평상재능나눔 얌얌수다방 -어르신들의 재능을 나누는 '찾아라, 어르신 명장' -어르신들과 배우고, 먹고, 즐기는 '전통한 (床)' |
모든 세대의 공통 관심사인 '식(食)'을 매개로 마을 주민들과 상호교류의 관계를 통한 소통의 장 마련 |
-전통 디저트 홍보를 위한 '일일전통카페' -주민들과 식(食)을 통한 소통의 장 마련 '먹거리마켓' |
지역사회 내 사회적경제 가치 저변 확대를 통해 사회적경제 기본이념에 대한 인식 강화를 기반으로 주민주도 사회적경제 활동 기반을 마련하여, 지속가능한 경제마을공동체를 위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
원종1동ㆍ원종2동ㆍ오정동에 거주하는 비경제활동 여성
구분 | 내용 |
지역사회 내 사회적경제 가치 저변 확대 | - 사회적경제아카데미 진행 - 사회적경제 조직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 |
사회적경제 활동 기반 마련 | -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참여자 모집 - 다락공동체 구성 및 자조모임 진행 - 경제활동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|
사회적경제 단계별 추진 | - 맞춤형 사회적경제 컨설팅 진행 -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 지원 |
지역주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마을카페를 통해 주민들의 소통을 활성화 시키고 정보제공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함에 마을커뮤니티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
오정구 내 거주하는 지역주민 누구나
구분 | 내용 |
주민들이 상시 이용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 제공 | -주 5회(10시~16시) |
지역 주민에게 정기/비정기적인 다양한 교육 실시 | -연 2회 이상 바리스타 등 다양한 교육 진행 |
주민 중심의 마루원 카페 운영 | -바리스타 교육 이수한 주민 대상 마루원 카페지기 활동 독려 |
지역주민 마을미디어 활동가 양성을 통해 공동체 활동의 참여기회를 제공하고, 지역거점 주민 주도 마을활동을 통한 마을 소통창구를 확대하여 지역 공동체 회복
지역주민 누구나 주민기자단 희망샘
구분 | 내용 |
마을미디어 활동가 양성 및 역량강화 | - 마을미디어 제작 교육 진행 - 마을미디어활동가 워크샵 진행 - 마을미디어 단체 네트워크 구축 |
주민과 마을간 관계 확대 | - 마을미디어 활동가 정기회의 진행을 통한 주체적 활동 수행능력 향상 - 마을미디어 매체 제작 및 배포(마을신문, 마을라디오) |
마을미디어 활동을 통한 지역 공동체 회복 | - 마을미디어 컨텐츠 배포ㆍ홍보를 통한 주민과 마을의 소통관계 향상 - 공개방송 진행을 통한 마을 내 미디어 활동 홍보 및 주민 소통창구 확대 - 주민주도 마을미디어 축제 기획 및 진행 |
신규 주민 리더ㆍ조직의 발굴 및 기존 조직의 조직력 강화를 통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주체 형성
지역주민 누구나
구분 | 내용 |
신규 주민 조직 발굴을 통한 마을 활동 체계 마련 | - 신규 주민조직 발굴 및 양성 교육 진행 |
기존 주민 조직 지원 및 주민 조직 조직력 강화 | - 주민 조직 및 동아리 지원 시스템 구축 - 맞춤형 역량강화 보수교육 진행 |
마을 활동 방향성 제시 및 지속적 마을 활동 연계 | - 지역 내 주민 리더 만남을 통한 지속적 마을 활동 의미 공유 및 참여 유도 |
청소년들의 욕구, 재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청소년 자치활동단을 발굴 및 양성하여, 지역참여형 자치활동을 기획-실천-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주체성 향상 및 공동체성 함양을 증진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청소년으로서의 성장을 도모
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 내 청소년
청소년 자치활동단이 주체가 되어 지역 참여형 자치활동의 기획-실천-평가 활동을 진행
구분 | 내용 |
우하클럽 오정뜰어울림 한마당 캠페인 봉사단 | - 청소년 스스로 캠페인활동을 기획, 참여하여 청소년들의 주체성 및 공동체의식을 향상 |
우하클럽 환경지키미 봉사단 | - 베르네천, 오정대공원 등 지역 내의 환경을 청소년 스스로 지키고 고민해보는 활동을 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의식을 제고 |
학교 동아리연계 봉사활동 (원종고 한별단, 부천북고 과학뱅크) | - 복지관 인근 학교 동아리와의 연계로 다양한 봉사활동 진행 - 동아리 특성을 살린 지역 내 아동대상 나눔활동 진행 |
동계, 하계 청소년자원봉사학교 프로그램 진행 | - 방학시즌 청소년들의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 |
지역사회 마을 만들기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주민주도 마을 현안 해결활동으로 희망이 샘솟는 마을 만들기
지역주민 누구나
구분 | 내용 |
마을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인식 확산 | - 마을의 현안을 파악하고 해결방안 모색 |
지역주민/지역단체/유관기관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사회 협력 체계 강화 | - 네트워크 협력체계 강화 |
지역주민/지역단체/유관기관 연합 사업 진행 | - 마을 현안 해결을 위한 실천 연합 사업 진행 |
행정적 수퍼비전 및 교육적 수퍼비전을 통한 이론과 실제의 사회복지 실무경험과 행정경험 기회제공 및 개인의 자아 인식 발달과 전문적인 사회사업 기술을 익히며, 사회복지기관 사업의 다양성을 경험하도록 하여 미래의 사회복지 실천전문가 배출
사회복지 및 관련 학과 대학생
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 속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 및 역할 이해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의 욕구에 따른 사업, 프로그램 운영 및 위기해결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사로서의 기본자세 및 태도 확립을 통한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 형성
※ 1~2월 동계방학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
※ 7~8월 하계방학 사회복지현장실습 진행